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조영민 차장과 한동훈 지도부의 운명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<br>Q1. 내일은 대통령 운명도 결정하지만, 한동훈 대표를 비롯한 여당 운명도 분기점이 되겠죠? <br><br>탄핵안이 통과되든, 부결이 되든, 한동훈 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한, 권성동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윤, 대통령과의 관계설정부터 시작해 이견 본격 표출될 겁니다. <br> <br>어떤 식으로든 한 쪽이 다른 쪽을 정리해보려 하는 시도는 정치적 상수로 보입니다.<br><br>Q2. 대통령이 탄핵 당하면, 지도부는 물러나라 뭐 이런 주장이 친윤계의 가장 임박한 공격이에요 <br><br>한동훈 대표의 생각이 중요하다고 어제 말씀드린 거 같은데, 절대 물러날 일 없다는 생각인 것으로 파악이 됩니다.<br><br>주변에 "내가 물러나는 순간 우리는 계엄에 동조한 정당이 된다" 이런 생각을 밝혔다는데요.<br> <br>내가 왜 물러나냐, 끌어내릴 수 있으면 내려봐라 이런 결기가 느껴집니다. <br><br>Q3. 친윤계는 이제 탄핵안 가결 후 사퇴 이야기 공개적으로 하던데요. <br> <br>본인은 친윤계임을 부인하지만, 요즘 대통령실과 가장 싱크로율이 높은 발언 하는 인물있습니다. <br><br>바로 윤상현 의원입니다. <br><br>오늘 이렇게 말했습니다.<br> <br>"계엄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은 총선 참패다" "총선 참패에 있어 당에서 누가 가장 큰 책임있느냐." "책임질 사람 당대표 아니냐"<br> <br>한동훈 대표 총선도 책임지고 탄핵도 책임지라는 겁니다. <br><br>권영세 의원도 "탄핵안 통과되면 지도부도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하는 거 아니겠냐"며 가세했습니다.<br><br>Q5. 그럼 친윤계는 탄핵 가결되면 한동훈 대표 체제를 마무리 짖겠다는 건가요? 의원 수만 보면 친윤이 많잖아요? <br><br>사실 마음속으로는 이별을 선언했다고 볼 수 있지만요. <br><br>탄핵안 가결 직후 당장 결행하기에는 고민이 깊습니다. <br><br>Q6. 그래요? 무슨 고민입니까? <br><br>정치라는 게 결국 명분과 실리로 움직이는데, 일단 한 대표를 당장 이 시점에 끌어내릴 명분이 없다는 고민이 있습니다. <br><br>친윤과 가까운 인사도 이렇게 말하더라고요. <br><br>한 대표는 계엄을 해제한 사람인데, 탄핵 책임을 한 대표에게 지우며 쫓아내면 많은 국민들에에게 국민의힘은 자유당처럼 비칠 것이라고요.<br> <br>당 중진 의원은 "원내지도부 새로 꾸리자마자 끌어내리는 건 당에 타격이 너무 크다" 라고 했고요. <br><br>중립 성향의 초선 의원 역시 "한동훈 대표를 끌어내리는 건 절대로 안 된다. 국민이 뭐라보겠나" 이렇게 말하더라고요.<br><br>사실 마땅한 방법이 없기도 하고요. <br> <br>Q7. 방법이 없다고요? <br><br>비대위 체제로 전환되려면 키맨이었던 장동혁 의원이 사퇴에 동의해야 하는데 일단 대통령 담화를 계기로 사퇴하지 않는 쪽으로 쏠려 있습니다.<br><br>억지로 끌어내리려고 했다가는 핍박받는 모습으로 한 대표만 띄워줄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Q8. 그럼 친윤계의 전략은 뭡니까? <br><br>계속 흔들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예를 들어 대통령 출당시킬거냐. 한동훈 대표 생각 출당이 명확하지만, 반대 외치는거죠. <br><br>의원들의 생각을 들어보고 결정할 문제라면서요.<br> <br>대표의 령이 서지않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리더십을 흔들겠다는 거죠. <br><br>Q9. 당 대표인 친한, 의원 다수인 친윤 계속 붙겠군요. <br><br>사실 본질은 늘 여론에 있는데요. <br> <br>오늘 나온 여론조사가 있습니다.<br><br>일반 여론과 다르게, 국민의힘 지지층은 탄핵에 반대하는 비율 66%, 대통령 내란죄 아니다 68%를 기록했습니다.<br> <br>여전히 지지층 내에서 대통령 지지층이 있고, 친윤에겐 힘입니다. <br><br>다만 제가 지지층 내에서의 비율이라 했죠? <br><br>친한계 입장에서는 저게 도대체 전체 국민 중 얼마나 되는 규모냐, 저 여론만 따라가서는 다음 대선에 절대 승산이 없다는 게 친한계 생각입니다. <br> <br>이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잠시 후에 다시 조영민 차장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